Search

퀘스트 완료 시 다른 퀘스트 상태 변경

1. 퀘스트를 완료 처리하는 이유

리얼월드 게임을 플레이하다보면 퀘스트 버튼 색깔이 다르게 표시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것은 완료 처리된 퀘스트로서 플레이어가 어떤 퀘스트를 수행하였는지 표시합니다.
하지만, 퀘스트를 완료 처리하는 가장 큰 이유는 리액션에 조건을 걸기 위해서입니다.
'특정 퀘스트가 완료될 시 어떠한 리액션을 표시한다'는 상황을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위의 세 이미지 중 왼쪽은 '정동밀서', 오른쪽 두 이미지는 '아빠, 어디갔어?!'입니다. 보시면 마지막 퀘스트 혹은 특정 퀘스트가 잠겨있거나 숨겨져 있는데요. 특정 퀘스트를 수행할 경우 잠금이 해제되거나, 숨겨져 있는 퀘스트가 드러납니다.
이러한 조건을 거는 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 퀘스트 생성

미션 편집 화면에서 퀘스트를 3개 생성합니다.
마지막 3번째 퀘스트는 아래 설정에 따릅니다.
퀘스트를 숨겼다가 등장시키기 효과를 주려면 미공개/미잠금을 설정합니다.
혹은 퀘스트가 잠겨진 상태에서 풀리는 효과를 주려면 공개/잠금으로 설정합니다.
이번 예시에서는 미공개/미잠금으로 설정해보겠습니다.

3. 퀘스트 설정 시 유의사항

이전에 퀘스트 리액션 설정에 대해 배웠던 만큼, 리액션 설정이 낯설지는 않을 것입니다.
하지만 중요한 점은 '정의 추가'를 이용하여 조건을 여러개 설정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퀘스트의 개수를 A/B/C 3개가 있다고 가정할 경우, 'A퀘스트를 먼저 수행하고, B퀘스트를 나중에 수행할 경우'와 'B퀘스트를 먼저 수행하고 A퀘스트를 나중에 수행할 경우' 2가지 경우의 수가 생깁니다. 이 경우의 수만큼 정의를 추가해야 합니다.
그리고 이 리액션 정의는 위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적용되기 때문에, 여러 조건이 적용되어 있는 순으로 작성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4. 첫 번째 퀘스트 액션/리액션 설정

액션 설정은 본인의 퀘스트 종류에 맞게 선택합니다.
리액션 정의를 추가하여 2개로 만듭니다.
첫 번째 정의에서는 두 번째 퀘스트가 완료되었을 시 발생할 리액션을 작성합니다. 조건에 맞는다면 이 부분이 먼저 실행되는 만큼, 숨어있는 마지막 퀘스트를 숨김 해제처리 해야 합니다.
그리고 해당 퀘스트를 완료 처리하고 본래 미션으로 이동시킵니다.
두 번째 정의는 첫 번째 정의의 조건에 해당되지 않을 시 실행됩니다.
따라서 두 번째 퀘스트가 완료되지 않았을 경우에 발생할 리액션을 작성합니다.
역시 퀘스트 완료 처리하고 본래 미션으로 이동시킵니다.
만약 생성된 리액션의 순서를 바꾸고 싶을 경우, 리액션 정의 좌측에 표시되는 화살표를 클릭하여 순서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만약, 정답이 있는 퀘스트를 설정할 경우 오답시 리액션도 편집해줍니다.

5. 두 번째 퀘스트 액션/리액션 설정

기본적으로는 앞서 작성한 방식과 동일하게 작성합니다.
리액션 정의를 추가하여 2개로 만듭니다.
첫 번째 정의에서는 두 번째 퀘스트가 완료되었을 시 발생할 리액션을 작성합니다. 조건에 맞는다면 이 부분이 먼저 실행되는 만큼, 숨어있는 마지막 퀘스트를 숨김 해제처리 해야 합니다.
그리고 해당 퀘스트를 완료 처리하고 본래 미션으로 이동시킵니다.
두 번째 정의는 첫 번째 정의의 조건에 해당되지 않을 시 실행됩니다. 따라서 두 번째 퀘스트가 완료되지 않았을 경우에 발생할 리액션을 작성합니다.
역시 퀘스트 완료처리하고 본래 미션으로 이동시킵니다.

6. 리얼월드 앱에서 확인

리얼월드 앱에서 확인해보면, 두 퀘스트가 완료되야지만 마지막 퀘스트가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제대로 작동하고 있습니다.
만약 마지막 퀘스트를 잠금 처리해놓고, 모든 퀘스트를 완료 이후에 잠금 해제시키고 싶다면, 리액션 정의 부분에서 '퀘스트 버튼 표시'를 '퀘스트 버튼 잠금 해제'로 설정하면 됩니다.
ⓒ 2023 Uniquegood Company All Rights Reserved.